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기자, 아자 사회2부 황규락 기자 나왔습니다. <br><br>Q. 황 기자, 4개월 전에 하루에 60만 명 씩 코로나 확진자가 나왔었는데요. 그렇게까지 대유행으로 갈 수도 있는 건가요?<br> <br>정부도, 전문가도 그렇지는 않을 거라고 보고 있습니다. 지금까지 코로나 백신을 많이 맞았고, 이미 감염됐던 사람들도 많기 때문입니다. 재감염이나 돌파감염이 있기는 해도, 이전처럼 백신면역이든 자연면역이든 없던 때와는 다르다는 겁니다. <br> <br>해외 사례도 참고해볼만 한데요. 남아공에서 BA.5 변이가 유행할 때 확진자 수가 이전 유행의 3분의 1 정도에서 꺾였습니다. 다른 나라들도 비슷한 추세고요. <br> <br>그래서 우리도 최고 정점이었던 60만 명의 3분의 1 수준인 20만 명이 이번 유행의 최대치라는 전망이 나오는 겁니다. <br><br>Q. 근데 다시 거리두기를 할 시점은 아닌가요? 한덕수 총리는 어쨌건 처음으로 선별적 거리두기를 꺼내들었던데요.<br> <br>과거처럼 모든 국민이 참여하는 거리두기는 안 하겠다고 방역당국이 수차례 강조했습니다. 이전 정부와 다르다는 거죠. 지금은 백신도 있고 치료제도 있어서 할 이유가 없다는 겁니다. <br> <br>그러면서 언급한 게 '선별적 거리두기'입니다. <br> <br>재유행이 심해지고 치명률이 올라가면 한다는 건데요. 영업시간이나 사적모임을 규제하는 건 아니고, 요양병원 같이 감염에 취약한 시설의 면회를 제한하는 등 일부만, 최소화해서 하겠다는 겁니다. <br><br>Q. 4차 백신을 권고 했습니다. 이번 변이에는 지금의 백신이 효과가 없지 않냐는 시청자들의 질문도 있는데요. 백신, 꼭 맞아야 할까요? <br><br>많은 분들이 궁금하실텐데요. <br> <br>지금의 백신이 BA.5 변이 감염을 막기에는 역부족인 게 사실입니다. <br> <br>정부가 먼저 맞은 4차 접종자를 조사해 봤는데요. 3차 접종을 했을 때에 비해서 감염을 막는 효과는 20% 밖에 안 늘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하지만 중증화와 사망을 막는 효과는 50% 넘게 늘었습니다.<br> <br>따라서 전문가들은 기저질환이 있다면 맞는 게 낫다고 말합니다. <br> <br>하지만, 앞서 리포트에서 보셨듯이 60대 3명 중 2명은 4차 접종을 안 했습니다. <br> <br>그래서 고령층으로 갈수록 위중증이나 치명률이 높아지는만큼 이들을 접종하게 만드는 백신 인센티브가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<br>Q. 그런데, 50대 이상도 불안해하는 지점이 이렇게 계속 4번 5번 계속 맞아도 되는 거에요? 가을에 변이용 백신이 또 나온다면서요. <br><br>전문가들에게 물어보니까요. 코로나 백신을 여러 번 맞는다고 해서 건강에 안 좋은 건 아니라고 합니다. <br> <br>지금 추가 접종을 하는 이유가 떨어진 면역을 다시 채우는 거라서 맞아서 안 좋은 거 보다는, 아픈 걸 막아서 얻는 게 더 크다는 겁니다. <br> <br>가을에 나온다는 오미크론용 개량 백신은 아직 임상시험 중입니다. 언제 나올지 알 수 없습니다. 그래서 개량백신을 막연하게 기다리기 보다는 당장의 중증 위험을 줄이는 게 낫다는 겁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사회2부 황규락 기자였습니다.